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시사  >  월드

中, 北 비상사태 대비 국경 군사력 강화

입력 2017-07-26 05:05:03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외곽 북·중 국경지대 압록강에서 지난해 3월 관광객을 상대로 물품을 판매하는 북한 주민이 배를 몰고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중국이 미군의 공격 가능성을 포함한 북한의 잠재적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북·중 국경지대에 방위력을 증강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중국군의 보고서와 정부 자료 등을 종합해 최근 몇 달 사이의 변화를 짚었다. 중국의 최근 조치들을 보면 새 국경수비대 창설, 24시간 공중 무인기의 산악지대 감시, 핵·화학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벙커 마련 등이다. 또 기존 국경 부대들을 현대화하고 특수부대와 공수부대의 훈련도 잦아졌다.

북·중 국경 강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북 제재를 강화하라고 중국을 압박하며 계속해서 군사행동을 시사해온 상황과 겹친다. 중국 국방부는 최근 움직임에 대한 즉답을 피하면서 “국경에서 전투준비 태세 및 훈련의 보통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하지만 군사전문가들은 중국이 전쟁, 경제적 붕괴, 핵 오염 등을 포함해 북한의 비상사태를 대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군이 북진할 경우 중국군이 북한의 북쪽 지역을 점령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미국의 전직 고위 국방정보 관리인 마크 코사드는 “중국의 긴급사태 준비가 단순히 국경 안보를 강화하는 차원을 넘는다”고 말했다. WSJ는 과거 중국은 북한 정권 붕괴 후 난민 사태를 우려했지만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시험한 이후 미국의 군사개입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인민해방군 소장 출신의 왕하이윈은 지난 5월 기고를 통해 “전쟁 시 중국은 북한의 북쪽 지역과 핵시설을 장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3일 한반도 서해 공역을 비행하던 미 해군 EP-3 정찰기 주변으로 중국군 젠-10 전투기 2대가 전속력으로 날아온 뒤 속도를 줄이면서 90m 앞에서 가로막았다고 미 국방부가 밝혔다. 미군은 충돌을 막기 위해 ‘회피 기동’으로 정찰 지역을 빠져나왔다. 중국의 위험한 기동 작전이 미·중 간의 최근 긴장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이 초근접 비행을 항의한 데 대해 25일 “그럼 정찰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