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인터뷰  >  일반

[인터뷰] “5년은 너무 짧아”… 10년 세월, 미술축제에 담는다

입력 2017-09-07 18:40:01
브리타 페터스
 
프랑스 작가 피에르 휘그의 설치 작품 ‘앞선 삶의 이후’. 아이스링크로 활용됐던 공간의 바닥을 모두 파헤쳐 고대 유적 발굴 현장을 연상시킨다.
 
미국 작가 니콜 아이젠만의 ‘분수 스케치’. 얼굴조차 문드러진 인체 조각상의 다리에서 피가 솟듯 물이 뿜어져 나와 생존의 괴로움에 대해 이야기하는 듯하다.


독일 서북부에 위치한 인구 30만명의 작은 도시 뮌스터. 모던한 외관의 중앙역에서 15분만 걸으면 12세기 고딕 성당의 중세 흔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이 도시에서 10년마다 공공미술 축제인 뮌스터조각프로젝트(6월 10일∼10월 1일)가 열린다. 1977년 출범했으니 올해로 5번째. 2년마다 열리는 이탈리아 베니스비엔날레(1895), 5년마다 개최되는 독일 카셀도쿠멘타(1955)에 비해 역사는 짧지만 세계적 현대미술 이벤트 3개가 동시에 겹친 올해, 그랜드투어의 최대 명소가 됐다.

뮌스터조각프로젝트의 공동 창설자로 사실상 종신감독인 카스퍼 쾨니히(72) 총감독을 도와 행사를 꾸린 2명의 큐레이터 중 1명인 브리타 페터스(50)를 지난달 말 LWL뮤지엄 앞 카페에서 만났다.

10년마다 열리는 행사, 현지에서 주기가 너무 기니 5년으로 줄이자는 논의가 뜨겁다. 페터스는 “쾨니히가 10년이라는 리듬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한다. 우리에게 10년은 매우 흥미로운 리듬”이라며 “10년은 지나야 뭔가가 드라마틱하게 변하고, 미술계에도 새 아이디어를 가진 새로운 세대가 등장하지 않냐”고 반문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우리 사회에 생긴 가장 큰 변화로 디지털화와 글로벌화를 꼽았다. 우선 디지털화. “2007년에도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SNS가 있었지만 영향력은 미미했어요. 그런데 이제는 우리 삶을 컨트롤할 정도가 됐어요. 디지털 경험으로 우리는 점점 몸을 소실해가고 있어요. 몸을 쓰지 않고도 모든 시간과 장소에 갈 수 있으니까요. 디지털화가 동전의 한 면이라면 몸은 동전의 또 다른 면이라고 할 수 있지요.”

또 다른 변화인 세계화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미카 로텐베르크 작품에서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텐베르크는 문 닫은 지 오래된 아시안 마트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했다.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지역에서 중국식당이 성업하는 현실을 초현실적인 기법으로 다룬 비디오 영상을 소개해 인기를 끌었다. 올해는 각국의 엄선된 작가 37명(팀)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우리는 매력적인 작업을 할 만한 작가를 초대해 먼저 도시를 보여주고 도시의 역사를 알게 한 뒤 그들이 작품 장소를 선정하도록 합니다. 도심 운하 바닥에 철골 구조물을 가라앉혀 놓고 사람들이 물위를 걷게 한 아이제 에르크만의 ‘물 위에서(On the water)’도 작가가 장소를 선정했지요. 그녀는 뮌스터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했는데 학생들이 할아버지 세대가 다녔던 낡은 바에 가느니 운하 근처 카페에서 모이길 더 좋아한다는 걸 알고 거길 선택했다고 해요.”

에르크만은 20년 전인 97년에도 참여했다. 당시 뮌스터 대성당 앞에 조각상을 세우려고 했는데, 보수적인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자 공중에라도 설치하겠다며 조각상을 헬기에 매달아 전시한 여걸이다. 페터스는 “그가 2027년에 초대된다면 그때는 불을 사용해 제목이 ‘온 더 파이어(On the fire)’가 되지 않을까요”라며 웃었다.

뮌스터조각프로젝트는 75년 뮌스터의 공공장소에 영국 조각가 헨리 무어의 조각이 전시된 뒤 시민들 사이에 흉물 논란이 거세진 걸 계기로 대중들에게 현대 미술을 알리기 위해 시작됐다. ‘서울로 7017’에 설치됐던 ‘슈즈트리’가 흉물 논란에 휩싸여 조기 철거된 사례를 떠올리며 작품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보여줬다. 그는 “이 작품이 설치된 곳의 역사와 담론을 모르기 때문에 판단하기가 어렵다”면서도 “여성작가가 용감하게 이런 거대한 작품을 했다는 게 놀랍다”고 칭찬했다. 미디어와 시민들의 논란 가운데서 예술가가 표현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는 말도 했다. 한국의 공공미술이 헤쳐가야 할 숙제를 듣는 기분이었다.

뮌스터(독일)=글·사진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