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시사  >  종합

사드 추가배치에 해결 감감 ‘국가간 보복’의 희생양… 롯데마트, 中서 철수

입력 2017-09-14 21:55:01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여파로 영업이 중단된 롯데마트 중국 허베이성 옌지아오점 전경. 1만730㎡ 규모의 옌지아오점은 2011년 12월 오픈했지만 롯데마트의 철수 방침에 따라 매각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 롯데마트 제공


롯데그룹이 중국 최대 사업인 마트를 매각할 것으로 알려지자 제과, 칠성 등 다른 계열사까지 중국 사업을 접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보복 여파가 장기화될수록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철수는 예정된 수순이라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롯데마트의 중국 철수는 고심 끝에 나온 ‘마지막 카드’라는 평가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중국 시장에 대한 의지를 강력하게 보인 데다 매장 수가 100개를 넘기면서 안정적으로 운영하던 상태였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사드 보복이 장기화되면서 개별 기업이 견디기 어려운 한계상황에 이른 것 같다”며 “기업이 잘못한 일이 아닌데 해결방안도 찾지 못한 채 마냥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 어렵게 내린 결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당초 두 차례 자금 수혈을 하며 올해만 버텨보자는 입장이었다. 지난 3월 사드 보복이 본격화돼 현지 운영이 어렵게 되자 3600억원을 긴급 수혈했다. 지난달 31일에는 중국 롯데마트와 백화점 법인을 소유한 홍콩 롯데쇼핑 홀딩스가 중국 금융기관에서 3억 달러(약 3400억원)를 차입해 지원하기도 했다. 중국 시장은 다른 시장보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포기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당장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관계를 중시하는 중국 문화 탓에 위기를 견디는 모습을 보여주면 관계가 개선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신 회장은 지난 3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그 나라(중국)를 사랑합니다. 우리는 절대적으로 중국에서 계속 사업하기 바랍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3월부터 계속됐던 영업정지 처분은 풀리지 않았다. 중국 내 롯데마트 112개 점포 중 74개가 영업정지 상태다. 여기에 불매운동까지 번지면서 정상영업 중인 나머지 점포 역시 매출이 80% 이상 줄어든 상황이다.

영업정지 중에도 인건비와 매장 운영비 등 고정비용이 계속 발생하는 상황은 롯데에 부담이 됐다. 사태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영업정지 상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는 게 결정적인 영향을 줬다. 업계에서는 정권 교체 이후 한·중 관계가 개선될 거란 기대가 있었지만 최근 사드 4기 발사대가 추가 배치되면서 오히려 분위기는 악화되고 있다.

롯데 측은 마트 외에 다른 계열사 철수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중국이 사드 추가 배치와 매장 매각 결정을 빌미로 다른 계열사에 대해 고강도 보복을 할 가능성이 높다.

글=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