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HOME  >  시사  >  종합

文대통령 “난징 대학살 동병상련 애도”… 中과 동질성 강조

입력 2017-12-13 18:25:01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3일 오후 중국 베이징의 완다 소피텔 호텔에서 열린 재중국한국인 간담회에서 배우 추자현씨, 중국인 남편 우효광씨 부부와 건배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추씨 부부를 “우리 쪽에서 보면 중국 사위, 중국 며느리”라고 직접 소개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 中 국빈방문

첫 일정 재중한국인 간담회서
위로의 뜻 전하며 과거사 언급

역대 최대 규모 비즈니스 포럼
FTA 후속협상 개시 MOU 체결

中, 공항 영접 격 낮춰 홀대 논란

중국을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1937년 일본군이 저지른 난징(南京) 대학살을 추모하며 첫 일정을 시작했다. 13일은 난징 대학살 80주년이 되는 날이다. 문 대통령은 “우리 한국인들은 중국인들이 겪은 고통스러운 사건에 깊은 동질감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베이징의 완다 소피텔 호텔에서 재중국한국인 간담회를 열고 “저와 한국인들은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난징 대학살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아픔을 간직한 많은 분께 위로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두 나라는 제국주의에 의한 고난도 함께 겪었고, 함께 항일투쟁을 벌이며 어려운 시기를 함께 헤쳐 왔다”고 했다.

간담회에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며느리 이덕남 여사를 비롯해 중국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6명, 배우 추자현씨와 중국인 남편 우효광씨 부부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후손 한 분 한 분의 가슴에는 애국애족의 정신과 한·중 우호의 역사가 깃들어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장쑤성 난징 대학살 희생동포 기념관에서 열린 추모식에 참석했다. 방중 첫날이 시 주석까지 참석하는 추모일이라는 걸 확인한 문 대통령은 고민하다 “그러면 관련 발언을 하지 않을 수 없지 않으냐”며 연설문에 직접 난징 관련 내용을 넣었다. 문 대통령은 또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영접 나올 예정이던 노영민 주중대사를 추모식장으로 가도록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댜오위타이에서 열린 한·중 비즈니스포럼 기조연설에서도 “이제 동북아도 역사를 직시하는 자세 위에서 미래의 문, 협력의 문을 더 활짝 열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를 성찰하고 아픔을 치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한·중 경제협력을 위한 3대 원칙과 8대 협력방안도 제안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제도적 기반 강화, 교역 분야 다양화, 미래 신산업 협력 강화, 벤처·창업·에너지·환경 협력 강화, 제3국 인프라사업 공동 진출 등이다. 14일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는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을 개시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또 “양국은 함께 번영해야 할 운명공동체”라며 “동주공제(同舟共濟·같은 배를 타고 함께 물을 건넌다는 뜻)의 마음으로 협력한다면 양국이 함께 발전하고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럼은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등 국내 기업 대표 300여명, 장쩡웨이 CCPIT 회장 등 중국 기업 대표 200여명 등 총 500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장가오리 상무부총리도 15분간 접견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공항에서 쿵쉬안유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의 영접을 받았다. 통상적으로 차관급이 공항에 나왔던 것에 비해 격이 낮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홀대 지적도 나왔다.

베이징=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