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그 특사 3인 가운데 이위종(1884~미상)은 독특한 인물이다. 한일병합에 항거해 1911년 1월 현지에서 자결한 이범진(1852~1911) 러시아 주재 특명전권공사의 둘째 아들로 젊은 나이에 국권 회복을 위한 외교활동을 펼친 외교관이었고 이후 항일 무장투쟁가로 변신했다. 제정 러시아 장교로 제1차 세계대전에도 참전했고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군 장교로 혁혁한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그는 미국 주재 공사였던 아버지를 따라 백악관을 방문해 미국 대통령 부부를 만나기도 했고 러시아 귀족 여성과 결혼해 딸 셋을 둘 정도로 개방적인 국제주의자이기도 했다.
구한말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해외에서 조국 독립을 갈구하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 갔지만 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됐지만 우리에겐 다소 생소한 인물이다. 이준(1859~1907), 이상설(1870~1917)은 기념사업회가 구성돼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지만 이위종은 동상도 하나 없다. 국내에 후손이 없고 30대 후반 나이에 갑자기 행방불명된 것이 이유일 테지만 볼셰비키 혁명군에 가담한 이력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재야 사학자 이승우(69)씨가 그런 이위종의 삶을 재구성한 역사소설 ‘시베리아의 별, 이위종’(김영사)을 펴냈다. 열사의 일대기를 오롯이 담아낸 첫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12일 만난 작가는 “열사를 다룬 몇 안 되는 국내 연구논문과 한국 러시아 일본 등에 흩어져 있는 외교문서 등 각종 문헌을 샅샅이 훑어 찾아낸 편린들을 당시 시대 상황과 엮어 그의 삶을 되살려냈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에는 러시아에 살고 있는 열사의 후손을 찾아가 인터뷰한 내용도 책에 실었다.
소설은 이범진 공사의 순국 자결 장면으로 시작되지만 이위종의 일생을 연대기 순으로 따라간다. 그는 해외 공사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 열두 살 나이에 미국 땅을 밟고 이어 프랑스 러시아로 이주해 서양 문물에 눈을 떴다. 근대 교육을 받게 된 과정, 프랑스의 생 시르 육군사관학교 생도 시절, 러시아 여성과의 결혼, 헤이그 특사 활동, 연해주 항일 무장투쟁 활동, 제정 러시아 장교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일, 붉은군대 사령관으로 시베리아를 호령하다 일본 특무대에 체포돼 사살되기까지의 과정이 펼쳐진다.
특히 헤이그 특사로서 펼친 활약상은 인상적이다. 그는 1907년 6월 헤이그 제2차 만국평화회의 당시 러시아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의 하급 외교관(참서관)으로, 정사(正使) 이상설을 보좌하는 부사(副使)였지만 발군의 활약을 펼쳤다. 프랑스어·영어·러시아어에 능통하고 서양 문화에도 익숙해 각국 언론인들에게 을사조약의 불법성을 알리고 국권 회복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데 앞장섰다. 그가 인터뷰한 기사는 당시 만국평화회의 소식지인 ‘만국평화회의보’ 1면에 헤이그 특사 3인의 사진과 함께 대서특필됐다. 이를 계기로 마련된 언론인 클럽 강연에서도 그는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1905년 을사조약이 무력을 앞세운 강압에 의한 것이었고 고종황제의 재가를 받지 않아 무효임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해 호평을 받았다. 책에는 당시 그의 연설 ‘한국의 호소(A Plea for Korea)’ 영어 전문이 실려 있다.
일제가 그해 8월 궐석재판을 통해 무기징역형을 선고하는 바람에 고국행이 막혔지만 그는 꿋꿋하게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해 나간다. 헤이그에서 ‘오직 힘만이 정의이고 나라를 지킬 수 있는 것은 오직 힘뿐’이라는 걸 절감한 그는 무장독립투쟁으로 방향을 튼다. 아버지의 지시로 거액의 군자금을 들고 항일투쟁 근거지인 연해주로 건너가 독립운동가들을 지원했고, 최재형 이범윤 안중근 등과 함께 항일의병 조직인 동의회를 결성해 회장으로 활동했다.
국권을 상실한 후에는 러시아 혁명에 가담해 붉은군대(적군) 장교로 변신한다. 볼셰비키가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 침략을 비난하고 피압박 민족의 해방을 열렬히 지지하자 러시아 혁명의 성공이 조국 독립의 지름길이라고 믿었을 것이다. 이위종은 사관학교에서 배운 군사 지식을 활용해 잇따라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려고 시베리아에 진주한 일본군을 상대로도 혁혁한 전과를 거둬 붉은군대 내에서 ‘시베리아의 별’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최근 공개된 일본 외무성의 기밀문서들은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가 이위종을 해외 한인 중 가장 위험한 인물로 점찍고 행적을 추적했음을 보여준다.
작가는 책 내용의 80%는 사료를 근거로 한 팩트(사실)지만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10~20%는 픽션(허구)으로 살을 입혔다고 했다. 생 시르 사관학교 재학 때 일본인과 독일인 생도와의 인연, 제1차 세계대전 참전 당시 활동, 시베리아에서 일본 특무대에 납치·사살된 최후 장면 등이 그것이다. 작가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일부 상상력을 발휘했지만 당시 정황으로 미뤄 충분히 개연성이 있는 설정”이라고 말했다.
작가는 이위종을 한국 최초의 코스모폴리탄(세계인)이자 공화주의자·민본주의자였고 무력에 의한 독립을 강조한 독립전쟁론자이자 당대 최고의 로맨티스트였다고 정의했다. 또 봉건과 근대, 서양과 동양, 약소국과 강대국의 경계에서 살았던 슬픈 경계인이라고도 했다.
작가는 “베일에 가려져 있던 이위종이란 영웅을 현재로 불러내 그의 불꽃 같은 삶을 독자, 특히 청년들에게 알리고 싶었다”며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이 선생에게 관심을 갖게 되고 누군가가 연구를 더 발전시켜 남아 있는 역사의 공백을 메우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