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의 어원은 함께 나누다, 공유하다 뜻의 라틴어 ‘communis’라고 한다. 의사소통으로 풀이할 수 있다.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공동체(community),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생각이라는 뜻의 상식(common sense), 빵과 포도주를 함께 나누는 기독교 의식인 성찬식(communion)등이 같은 어원에서 유래했다. 커뮤니케이션은 어원에서 짐작하듯 단순한 전달 행위가 아니라 공감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며, 경험을 함께한다는 뜻이 배어 있다. 커뮤니케이션학 개론에서는 ‘우리가 관련을 맺고 있는 사람 혹은 세상을 통해 메시지를 보내고, 받고, 해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커뮤니케이션은 송신자와 수신자, 즉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메시지를 주고받는 게 기본구조다(물론 비언어적 요소로 주고받는 것도 포함된다). 의미를 전달해 이해시키는 게 목적이므로 커뮤니케이션의 가치는 수신자가 결정한다. ‘무엇을 설명했는가’ ‘무엇을 전했는가’보다는 듣는 이가 ‘어떻게 받아들였는가’ ‘어떻게 해석했는가’가 훨씬 중요하다는 뜻이다. 내가 편안한 방식을 사용하거나, 내가 익숙한 언어나 태도로 전달하는 것은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이라기보다는 독백에 가깝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기자청문회’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 기발한 창의성과 밀어붙인 용기가 참 대단하다. 그가 과거의 특권을 사과하기도 했는데, 국회에서 여당 수석대변인의 도움을 받아가며 TV 생중계까지 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도 대한민국 어느 누구도 갖지 못하는 특권일 것이다. 마치 1인극을 본 것 같다. 조국은 인사청문회 준비팀의 도움으로 3주 가까이 준비했을 터이고, 기자들은 그렇지 못했다. 몰랐다, 그게 아니었다고 하면 기자들은 합리적 의심 외에 더 추궁할 자료나 증거를 들이밀 수 없다. 강제수사권이 없기 때문이다. 시작부터 뻔히 예상되는 상황이긴 했다. ‘불법은 아니나 제도와 네트워킹을 활용한 행위’. 지금까지 그와 주변에서 일어났던 ‘특권’의 데자뷔 아닌가. 물론 이 모든 걸 노린 전략이었을 것이다.
상황은 끝났고 조국은 하고 싶은 말을 남김없이 다했다. 수신자들은 이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해석했을까. 조국과 여권은 남는 장사를 했을까. 어차피 반대자들은 ‘저렇게 뻔뻔할 수가’, 지지자들은 ‘해명이 됐구먼’이라는 확증편향만 더 굳어지지 않았을까.
김명호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