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전체메뉴보기 검색

[And 라이프] 문화공간·쇼핑몰로 변신… 폐건물이 살아난다

입력 2019-10-27 20:30:02
편의점 이마트24가 최근 대구광역시 북구의 한 폐공장 터에 연 복합 문화시설 ‘투가든’. 흉물스럽게 방치됐던 건축물이 ‘레트로’ 양식 건축물로 변신했다. 이마트 제공
 
이마트24가 폐공장 터에 만든 복합 문화시설 투가든은 내·외관이 다른 매장과는 차별화된다. 회벽의 거친 질감이 살아있는 매장 내부가 눈에 띈다. 이마트 제공
 
세정그룹이 옛 물류창고를 리모델링한 ‘동춘175’에서 열린 마술쇼 공연 모습. 세정그룹 제공
 
‘동춘175’ 내부 모습. 세정그룹 제공


제품과 서비스는 건물보다 수명이 짧다. 제품 생산이 멈추면 창고와 공장은 텅 빈 채 혼자 낡아간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국에 즐비한 폐공장과 폐창고가 곳곳에서 새 생명을 얻고 있다. 소비자들이 높은 층고(건물에서 층과 층 사이의 높이)와 낡은 건축자재의 매력에 빠져들면서다. 흉물스럽게 방치됐던 건축물들이 ‘레트로’ 양식 건축물로 모습을 바꾸고 있다.

편의점 이마트24는 지난 16일 대구광역시 북구의 한 폐공장 터에 복합 문화시설 ‘투가든’을 열었다. 투가든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이마트24 매장이다. 이 매장은 회벽의 거친 질감이 살아있는 외관부터 다른 매장과는 차별화된다. 안으로 들어서면 벽돌로 쌓아 올린 벽과 나무자재가 그대로 드러난 천장이 보인다. 그마저도 400여종의 와인을 갖춘 창고형 와인셀러가 마련돼 일반 편의점과는 크게 다르다. 다른 이마트24 매장과 같은 점이라고는 상품이 빼곡히 들어선 진열장뿐이다.

투가든은 이마트24가 기존 편의점과 차별화된 이미지를 알리고, 앞으로 도입할 새로운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 만든 실험 장소다. 고객 동선과 진열장, 상품을 오로지 알뜰한 소비를 위해 배치했던 기존 편의점의 사고방식과도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이마트24는 적절한 장소를 찾던 중 한 지역 기업이 소유한 폐공장과 창고를 임대해 재활용하기로 했다. 이마트24 관계자는 “편의점이 이런 것도 할 수 있다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였다”며 “투가든을 시작으로 이미 인지도를 쌓은 서울을 넘어 전국으로 진출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마트24는 편의점뿐 아니라 면적이 1900㎡에 이르는 단지 전체를 옛것과 새로움, 촌스러움과 세련됨,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공존한 도시재생 공간으로 바꿔놨다. 이마트24는 이 분위기에 맞는 커피·베이커리·브런치 공간 ‘나인블럭’, 이국적인 스테이크 레스토랑 ‘선서인더가든’, 화원 ‘소소한 화초 행복’, 서점 ‘문학동네’, 체험놀이공간 ‘레고샵’ 입점을 주도했다.

이처럼 유통업계가 새 건물을 지어 인테리어 하는 대신 기존 건축물을 재활용하는 데에는 더욱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층고가 높은 건물은 경제적인 건축방식은 아니다. 다른 활용가능성이 있는 공간을 미적 아름다움을 높이기 위해 텅 비워둬야 하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내부 자재도 단순히 낡은 것을 쓴다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건축물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낡은 자재를 일일이 구해다 인테리어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말했다.

웰메이드, 인디안모드 등 패션브랜드를 보유한 세정그룹은 아예 자사 물류창고를 적극적으로 재활용한 경우다. 세정그룹은 2009년 경기도 용인에 ‘동춘 175’라는 복합쇼핑몰을 지었다. 연면적 9256㎡의 이 건물은 원래 1974년 세정그룹 1호 물류센터로 지어졌다. 세정그룹은 새 물류센터가 생기고 이 시설이 노후되자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하고 세정그룹의 전신인 ‘동춘상회’와 이 지역 도로명 주소 175번길에서 따서 동춘175라고 이름 붙였다.

동춘175는 복합쇼핑몰치고는 구조가 굉장히 독특하다. 개방감을 살리기 위해 원형을 최대한 유지한 흔적이 곳곳에서 눈에 띈다. 우선 기존 물류센터의 골조를 그대로 살리기 위해 에스컬레이터를 포기했다. 대신 건물을 ‘높은동’과 ‘낮은동’으로 나누고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 이어지는 계단을 놨다. 빠른 이동보다는 휴식에 중점을 둔 공간이다. 주말이면 이 계단은 마술이나 음악 공연 등을 관람하는 객석으로 변한다. 건물 외벽의 창문도 계단을 따라 사선으로 달았다. 계단이 이어진 흔적이 건물 외벽에 고스란히 드러나는 형태다. 의류기업의 물류창고로 쓰였던 흔적도 곳곳에 남아있다. 환편기, 자수기 등의 의류제조기기에 디자인 요소를 더해 곳곳에 배치했다. 그러면서 레스토랑과 카페, 의류매장, 아울렛 매장 등 세련된 시설들도 곳곳에 들어섰다.

사실 폐창고가 재활용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것은 카페와 인스타그램이다. 서울 성동구에는 창고형 카페의 대명사격인 ‘대림창고’가 있다. 원래 정미소였지만 한때 물류 창고로 활용하다가 다시 창고형 카페가 됐다. 혼자서는 열 수도 없을 것처럼 큰 문과 골조가 다 드러난 천장, 벽돌 사이로 아무렇게나 자라난 잡초 등이 사람들을 잡아끌었다. 인스타그램에는 이곳에서 찍은 사진이 10만 건 넘게 올라왔다. 슈퍼 식당 가정집 정비소 공장으로 수없이 그 모습을 바꿨던 카페 ‘어니언’도 만만찮은 인기를 자랑한다.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더카핑(The Carffing)도 최근 ‘인스타그램 성지’로 떠오르는 카페다. 이곳은 과거 자동차경매소로 쓰였다. 건물 외벽에도 The Carffing이라는 상호와 함께 여전히 ‘서울자동차경매소’라는 글귀가 박혀있다. 이름부터 자동차(CAR)와 커피(COFFEE), 주차(PARKING)에서 따왔다. 서울자동차경매소는 2000년대 경기도 안성으로 이전했다. 그러자 넓은 주차공간과 경매장이 덩그러니 남았다. 물류유통업체인 AJ토탈이 이 시설을 인수해 지난해 5월 카페와 문화·공연공간으로 꾸몄다. 더카핑은 거친 벽면과 바닥, 주차장 등 자동차경매소의 기존 시설을 카페 인테리어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경매장 앞 공터에는 한국 최초의 대중차 포니도 남아있다. AJ토탈 관계자는 “한국 자동차 역사를 담아내는 더카핑을 운영하면서 기업을 알리는 데에도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더카핑이 입소문을 타면서 가족단위 방문객도 몰려들고 있다. 더카핑은 개점 이후 1년간 20만여명이 다녀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을 위한 문화공연도 열리고 있다. 더카핑은 지난해 가수 옥상달빛 문화공연을 시작으로 지난 8월에는 카핑라이브라는 이름으로 공연행사를 벌였다. 현대자동차가 신차 발표회를 하는 등 여러 기업이 프로모션 장소로도 애용하고 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