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이후 발생한 교회발(發)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 중 3분의 1 이상이 교인이 100명 이하인 소형 교회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 사례가 교단, 규모, 신앙적 성향 등에 따라 다양한 만큼 집단에 책임을 묻는 데 그치기보다 사례 맞춤형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 김영주)은 질병관리청 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종교시설 집단감염 사례를 분석해 ‘코로나19 종교시설 집단감염 사례 조사연구’ 자료집을 10일 배포했다. 분석 대상은 지난해 5월부터 지난 2월 24일까지 발생한 개신교, 천주교, 불교 시설 내 집단감염 사례로 총 54건이다. 기사연은 “집단감염 사례 중 교회 비중이 절대적으로 큰 만큼 개교회의 일탈로 치부하는 건 무책임하다”며 “교단 및 연합기관에서 경각심을 갖고자 사례를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54건 중 천주교 시설에서 발생한 감염이 2건, 불교가 0건, 개신교가 51건, 기타(신천지)가 1건으로 개신교가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감염자 수는 7866명으로 신천지 신도(4714명)가 가장 많았고 개신교인(2953명)이 두 번째로 많았다.
교회 감염은 대형 교회보다 소규모 교회를 중심으로 발생했다. 교인이 100명 이하인 소형 교회에서 발생한 사례가 20건으로 39% 이상을 차지했다. 중소형(교인이 100~500명) 교회에서의 감염은 10건, 중형(500~1000명) 교회 1건, 대형(1000명 이상) 교회 내 감염은 8건이었다. 기사연은 “체계적인 방역을 위한 전문인력이나 행정체계, 비대면 예배를 위한 기술 등 교회 규모에 따른 차이가 감염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교단별로는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13건), 예장통합(4건),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4건) 내 감염이 가장 많았다. 다만 교단이 어디인지 알 수 없는 교회도 5곳이나 됐다. 기사연은 “국내 주요 교단에 들지 않는 자생적인 군소 교단일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교회 연합기관과의 소통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연은 교회발 집단감염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주요 교단의 적극적 방역 자세를 주문했다. 연구원은 “‘종교시설 집단감염’이라는 정의가 모호하다 보니 질병관리청 시스템에는 언론에 노출된 다른 23개의 사례가 빠져 있었다. 정부 차원에서 구체적인 분류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교회발 집단감염이 규모, 교단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방역 대책도 다양한 경로로 제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방역 조치를 잘 세우고 따랐지만 우발적 사고로 인해 집단감염이 발생한 경우와 대면예배를 강행하는 등 비협조적으로 나왔던 교회를 구분해 사후 대책 및 예방 조치를 내리는 식이다.